1. 재무관리의 개요
재무관리(financial management): 기업의 자금흐름과 관련하여 기업활동에 소요되는 자금의 조달과 운용에 관한 활동을 계획, 실행, 통제함으로써 기업목표를 달성하려는 일련의 활동
(Plan, Do, See)
- 기업활동에 있어서 자금을 어떻게 조달[자본조달결정]하고, 운용[투자결정]할 것인가를 다루는 분야
자본조달결정 -> 사업에 필요한 자금 받기
투자결정 -> 어떤 투자를 할 것인가 결정
재무관리의 목표: 기업의 목표를 달성하는 것
기업의 목표 -> 기업가치 극대화 or 주주(shareholder)부의 극대화
'이익 극대화' 목표의 문제점
- 이익은 주로 단기적 재무적 성과를 강조: 투자자들은 장기적 관점에서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고려함
- 이익개념의 불명확: 여러가지 이익이 있는데 같은 순이익일때도 회계처리방법에 따라 이익 규모가 달라서, 회계적 수치는 조작 가능성이 존재
- 시간가치의 무시: 지금의 돈의 가치와 미래의 가치를 고려 안하여, 회계평가 시점의 이익을 동일하게 취급하여 장기적 이익은 과소평가하고, 단기간 성과에만 집착
2. 화폐가치의 환산
재무분석 -> 모두 현금흐름(cash flow)을 기초
- 현금흐름: 투자안으로 인해 유입되거나 유출되는 현금
재무분석의 기초 개념
- 현재의 1원 가치 > 미래의 1원 가치
(화폐의 시간적 가치(time value of money)라고 함)
- 현금흐름시점과 평가시점을 고려하여 산출한 화폐의 가치
(1) 일시불 현금의 미래가치
- 화폐의 시간가치는 복리 기준
복리(compunding interest): 이자에 이자가 붙는것
단리(simple interest): 원금에 대해서만 이자가 붙는 것
연이자율 10%에 100만원 예금하였을떄 2년 후 얼마?
복리 -> 121만원
단리 -> 110만원

(2) 일시불 현금의 현재가치 (미래가치 반대)
-투자안의 현재가치: 주어진 투자수익률로 미래에 특정 금액을 얻기 위해서 현재 투자해야 할 금액
- 할인(discount): 미래가치와 수익률을 알고 있을때 투자안의 현재가치를 구하는 과정
(이 경우에 사용하는 수익률 -> 할인율(discount rate)이라함
현금 미래가치는 곱했으면 -> 현금 현재가치는 나눔

3. 투자의사결정
기업의 자금지출(투자의사결정)
1. 경상적 지출: 반복적이고, 주기적인 지출 (단기적 효과)
(Ex: 원자재 구입비, 인건비)
2. 자본적 지출: 대단위의 일회성 지출 (장기적 효과)
(Ex: 신규사업투자 등) -> 대부분 대단위 지출
자본예산: 1년 이상 효과가 지속되는 지출에 대한 총괄적인 계획을 수립하는 활동

투자안의 분류

단일투자대안: 이 자산에 투자하는게 좋을까? -> yes or no
복수투자대안: 어느 자산에 투자하는게 좋을까 -> which one
1. 투자할 자산의 가치 측정 (화폐의 시간 가치)
2. 투자 의사결정
자산: 미래 경제적 효익을 가져다 주는 것
자산의 가치: 자산으로 인해 미래에 유입될 순현금흐름의 현재가치
재무분석: 투자할 자산의 가치를 분석 후 투자결정을 판단
투자분석기법: 재무분석을 위해 사용되는 분석기법
(회수기간법, NPV, 내부수익률)
자본예산: 현금흐름 및 경제성 평가
균형가격: 자산의 가치
- 미래에 유입될 순현금흐름의 현재가치
시장가격: 시장에서 실제로 거래되고 있는 자산의 현재 가격
(1)
균형가격(100) > 시장가격(90)
- 자산의 저평가
- 차익거래가능
- 재정이익
(2)
균형가격(100) < 시장가격(110)
- 자산의 고평가
- 차익거래가능
- 재정이익
- 공매(short sale) - 주가하락예상
공매도: 빌려와서 팔기 -> 110원에 팔기 -> 나중에 100원되면 10원 이익
(빌 공)
경제성 평가
1. 회수기간법(payback period: PP)
- 현금흐름으로 투자원금을 회수하는데 걸리는 기간
(기준 기간을 넘으면 기각)

투자안 1에서는 기준인 3년보다 작아야 채택되지만, 3.27년이 걸리기에 기각

투자안 2에서는 회수기간이 2년 + 200/300 인데 이걸 치환하면 2.7년이라서 3년이 되기 전에 모두 회수 가능 -> 채택

회수기간법 문제점 1 -> 돈의 시간가치 고려 안함
둘다 회수기간 같지만 시간가치를 고려하면 투자안 1이 이득(지금 돈 받는게 가치가 더높음)

회수기간법 문제점 2 -> 현금흐름기간이 다르면 회수기간만으로 비교 어려움
회수기간만으로는 비교하기 어려움
현금유입기간이 더 길면 이득임
2. 순현가법(Net Present Value: NPV)
- 투자대안별 순현재가치를 구하여 그것이 가장 크거나 작은 것을 선택하는 기법
순현재가치(Net Present Value: NPV)
-> 균형가격 - 실제가격
순현가법
- 단일대안: 투자대안의 NPV가 0보다 크면 선택
- 복수대안: 투자대안별 NPV를 구하여 가장 큰 것을 선택
순현재가치의 이자율(할인율)
- 투자할 때 기대하는 최소한도의 수익률(기준율: hurdle rate)
Ex)
A씨는 100만원 대출(이자율 10%) 받아서 주식에 투자할지 고민 중에 있다. 만약 주식에 투자한다면 주식의 수익률이 최소 10% 이상은 되어야한다. 따라서 이자률 10%는 주식투자결정의 기준율이 된다.

- CF (Cash Flow): 각 기간 동안의 예상 현금흐름 (그 해 총합)
- r: 할인율 (투자의 최소 요구 수익률)
- t: 시간 (연도)
- 초기 투자비용: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위해 필요한 초기 자금


3. 내부수익률법(Internal rate of return: IRR)
- 투자안의 순현가가 0이 되도록 하는 할인율
내부수익률 -> 순현가법에서 할인율(r)을 구하는거임
순현가법 -> 순현재가치(NPV)를 구하는거
4. 자본조달결정
기업의 자본조달수단

자본비용(cost of capital): 자본제공자에게 자본사용에 대한 대가로 지불하는 비용

최적 자본 구조: 자본비용을 최소화하여 기업가치를 극대화하는 자본구조

'KNU Freshman > 경영의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atGPT & 사업 계획서 (0) | 2024.12.12 |
---|---|
통제 (0) | 2024.12.12 |
조직화 (0) | 2024.1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