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NU Freshman/컴퓨터학개론

(15) 인공지능

<인공지능이란>

인공지능의 정의

사람의 생각과 관련된 활동 (의사 결정,문제 해결, 학습과 같은 활동 자동화) (벨만, 1978)

지능이 요구되는 일을 있는 기계를 만드는 활동 (커즈와일, 1990)

인공물이 지능적인 행위를 하도록 하는 것 (닐슨, 1990)

사람이 하면 잘할 있는 일을 컴퓨터가 있도록 하는 활동 (리치와 나이트, 1991)

지능적인 에이전트를 설계하는 학문 (풀과 맥워쓰, 1998)

인지하고 추론하고 행동할 있도록 하는 컴퓨팅에 관련된 활동 (윌슨, 1992)

인간의 학습 능력과 추론 능력, 지각 능력, 자연 언어의 이해 능력 등을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실현한 기술 (두산 동아 백과사전)

 

인공지능의 목표

인간처럼 만드는 것이 아니라 인간과 유사하게 생각하며 인간의 사고를 뛰어넘는 것이다 (메커시, 2006)

 

* 인공지능이란?

강한 인공지능

    – 사람과 같은 지능

    – 추론, 문제 해결 판단, 계획, 의사소통, 자아 의식, 감정, 양식, 지혜, 신념 인간의 모든 지능적 요소를 포함

약한 인공지능

    – 특정 문제를 해결할 있는 수준의 지능

    – 인간의 지능적인 행동을 흉내 내는 수준

 

* 인공지능의 연구 분야

<연구 분야 (1)>

탐색 (Search)

    • 문제의 답이 있는 집합을 공간으로 간주하고 문제에 대한 최적의 해를 찾기 위해 공간을 체계적으로 찾는 방식

지식 표현(Knowledge representation) 

    • 문제를 해결하거나 심층적인 추론하는데 사용할 있도록 지식을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방법

추론(Reasoning, Inference)

    • 가정이나 전체로부터 결론을 이끌어내는

 

<연구 분야(2)>

학습 (Learning)

    • 경험을 통해 나중에 동일한 문제나 유사한 문제를 해결할 있도록 시스템의 구조나 파라미터를 바꾸는

계획 수립 (Planning)

    • 현재 상태에서 목표 상태에 도달하기 위해 수행해야 일련의 행동 순서를 찾는

 

* 인공지능 응용 분야

<주요 응용 분야(1)>

전문가 시스템 (expert system)

    • 특정 문제 영역에 대해 전문가 수준의 해법을 제공

데이터 마이닝 (data mining)

    • 컴퓨터 하드 디스크에 저장된 대량의 데이터로부터 차후에 사용할 같은 지식을 추출

패턴 인식 (pattern recognition)

    • 데이터에 있는 패턴이나 규칙성을 찾는

자연어 처리 (natural language processing)

    • 사람들이 사용하는 일반 언어로 자료를 처리하는 분야

 

<주요응용분야(2)>

컴퓨터 비전(computer vision)

    • 컴퓨터를 이용하여 시각 기능을 가지는 장치를 만드는 분야

음성 인식(speech recognition)

    • 음성을 입력 받아 문장으로 변환하는

로보틱스 (robotics)

    • 로봇과 관련된 기술 분야

에이전트 (agent)

    • 사용자로부터 위임 받은 일을 자율적으로 수행하는 시스템

 

<인공지능의 역사>

 

 

* 인공지능의역사

인공지능의 태

    – 1960년대 이전

    – 1946펜실베니아 대학, ENIAC 개발

    – 기대와 여러가지 시도, 매우 제한된 성공

    – 매커시가 AI(Artificial Intelligence) 용어 사용 (1956, 영국다트머스 회의)

    – LISP 언어 개발 (1958, 매커시) 

    – 논리 기반 지식 표현 추론, 매커시

    – 퍼셉트론(Perceptron) 모델 (1958, 로젠블랏)

         - 초기 신경망

 

기호주의 (마빈민스키)

     • 컴퓨터의 작동 방식을 기반으로 AI구현하는 논리

     • 논리적으로 설명 가능한 문제를 다룸

연결주의 (로젠블랏)

     •인간 뇌의 정보처리 과정을 응용

충돌AI암흑기

     • 1969, 마빈민스키, 퍼셉트론, 연결주의 문제점과 오류 지적을 위해, 퍼셉트론의 한계를 수학적으로 증명

1984, 럼멜홀드, 존홉필드, 퍼셉트론의 한계 극복

 

수단-목표 분석 (means-ends analysis)

   • 해결해야 하는 문제를 상태 (state)정의

   • 범용 문제해결을 목표로 GPS(General Problem Solver) 개발

   • 현재 상태와 목적 상태 (goal state)간이 차이 계산

   • 목적 상태로 도달하기 위한 조작자 (operator) 선택 적용하는 과정 반복

 

* 인공지능, 전문가 시스템의 성공

1970년대에서 1980년대 초반

일반적인 방법보다는 특정 문제 영역에 효과적인 방법을 찾는 연구

전문가 시스템 (expert system)

    • 특정 영역의 문제에 대해서는 전문가 수준의 해답을 제공

    • 1970년대 초반부터 1980년대 중반 상업적 성공 사례

    • MYCIN, PROSPECTOR, DENDRAL 전문가 시스템 개발 도구(expert system shell) 개발

Prolog 언어 개발

    • 지식의 표현과 추론을 지원하는 논리 (logic) 기반 언어

 

* 대표적인 초창기 전문가 시스템

MYCIN

    – 스탠포드 대학에서 개발한 전염성 혈액 질환 진단

    – 일반 의사보다 높은 정확도

PROSPECTOR

    – 광물 탐사 데이터 분석

    – SRI광맥 탐색 전문가 시스템

DENDRAL

    – 화학식과 질량 스펙트럼 데이터로부터 유기 화합물의 분자 구조 결정

    – 화학 분석용 전문가 시스템

    – 스탠포드 대학의 Edward Feigenbaum 개발

 

* 인공지능, 신경망의 부활

1980년대 중반에서 1990년대

신경망 모델 발전

다층 퍼셉트론 (Multi-layer Perceptron, MLP): 신경망의 르네상스

오차 역전파 (Error Backpropagation) 알고리즘

 


* 1980
년대 중반에서 1990년대 (2)

퍼지 이론 (Fuzzy theory)

    – 언어적인 애매한 정보를 정량화하여 표현

진화 연산

    – 진화 개념을 문제 해결에 도입

    – 유전자 알고리즘, 진화 프로그래밍

확률적 그래프 모델

    – 그래프 이론과 확률론을 결합

    – 컴퓨터 비전, 로보틱스, 자연어 처리,진단 등에 적용

 

 2차 인공지능의 겨울

     - 기울기 소실 문제 발생 (vanishing gradient)

     - 인공신경망의 계층이 많아질수록 학습을 위한 가중치가 조절이 되지 않음

 

* 2000년대 이후, 인공지능의 발전

에이전트 (Agent)

    • 위임 받은 일을 자율적으로 처리

시멘틱 (Semantic Web)

    • 컴퓨터가 상의 자원을 이해하여 처리

머신러닝 (Machine Learning)

데이터 마이닝 (Data Mining)

딥 러닝(Deep Learning)

상업적 성공 사례 다수 출현

    • 애플 Siri, 구글 now, MS Cortana

    • IBMWatson

    • 로봇: Boston Dynamic,  군사용로봇: BidDig, 재난 구조 로봇: Atlas

    • 자율주행 자동차

    • 클라우드 서비스

'KNU Freshman > 컴퓨터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14) 소프트웨어공학  (0) 2024.06.09
(13) 데이터베이스  (0) 2024.06.09
(12) 분산시스템 / 클라우드  (0) 2024.06.03
(11) 네트워크  (1) 2024.06.03
(10) 통신의 발전 과정  (0) 2024.05.20